자주 가는 ACC 아시아문화전당의 전시와 공연을 보고 나면 어디로 향해야 하는지 모르는 오발탄이 되어버리곤 하는 나는 광주에는 보고 즐길만한 문화 공간이 부족하다고 생각한다.
그러던 중 도슨트 K의 인스타그램에 올라온 G.Map(광주미디어아트 플랫폼)에서 백남준 작가의 미디어 아트 전시회가 진행되고 있다는 포스팅을 읽고 부랴부랴 메시지를 보낸다.
사실 백남준 작가에 대해서도 모르고 비디오 아트에 대해서도 모르지만 이번 기회에 도슨트 K에게 같이 관람을 하며 알고 있는 그의 지식을 공유해 달라 부탁하고 함께 G.Map으로 향했다.
처음 방문한 G.Map을 보며 광주에 이런 미디어 아트센터가 있었구나 라는 생각이 앞서서 들었다.
정문에서부터 이미 미디어 아트가 보이고 있어 입구부터 전시회에 왔다는 것을 빠르게 실감할 수 있었다.
전시회의 제목은 [사랑은 10,000마일] 작품의 이름 중 하나이지만 깊게 생각하지 않고
팸플릿을 간단하게 읽은 나는 1층 전시회장으로 향했다.
G.Map에서 백남준 전시회는 총 3층으로 해서 구성이 되어있다.
각 층마다 분명히 테마가 있다고 생각하기에 글을 써 내려가면서 하나하나 느낀 점들과 함께 설명해 보고자 한다.
먼저 1층에 들어가서 작품을 둘러본 나는 1층은 백남준이라는 작가가 한국의 토속신앙 또는 동양의 샤머니즘이
그의 작품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 보여주는 작품들이 많았다고 생각한다.
대표적으로 나에게 가장 깊은 인상을 주었던 작품은 아래의 사진 [블루부처]이다.
형형색색의 전선들은 부처의 모습을 그려내고 그 안의 TV는 평화를 상징하는 듯한 영상을 비치고 있는데
TV에서 나오는 백색소음은 큰 공간 안에 가만히 앉아있는 부처의 평안한 마음처럼 나의 마음을 고요하게 만들었다.
물론 많은 사람들 전시회에 없던 것도 한몫했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눈에 띄는 샤머니즘의 영감이 많이 들어간 작품으로는 아래의 사진처럼 동양의 대문을 보여주면서
작품 속에 TV를 집어넣어 과거와 현대가 어우러진 미디어 아트를 보여주고 있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이 작품도 백남준이라는 작가가 어린 시절의 짧은 대한민국에서의 생활, 또는 가족으로부터의 영향을 받아
토속신앙의 영향을 보여주는 작품을 만들지 않았을까 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그리고 또 재미있는 1층의 작품으로는 미디어 아트와 자연을 함께 전시한 작품,
처음 이 작품을 보자마자 고대 바빌론의 공중정원을 형상한 것 같다는 느낌을 받았는데
작품 설명을 읽어보니 역시 공중정원에서 영감을 받아서 작품을 만들었다는 해설을 읽으면서
나름 여러 전시회를 다니면서 조금이라도 안목이 쌓이고 있는 것 같다는 헛된 자신감도 받았다
사랑하는 사람을 위해서 바빌론의 평야 한가운데에 산과 같은 공중정원을 세운 것처럼
과연 백남준은 누구를 떠올리면서 혹은 무엇을 생각하면서 이 미디어 공중정원을 만들었을까 라는 생각도 하게 되었다.
1층에서의 작품을 쭉 보고 있는데 도슨트 K가 나의 어깨를 밀치며 재촉한다.
자기가 생각하기에 1층부터 보는 게 아니라 2층부터 먼저보고 다른 층들을 봐야지 작품을 더 깊게 이해할 수 있다는데
질문에 거침이 없는 나는 그에게 바로 "왜 그렇게 생각해"라는 질문과 함께 의문에 가득한 얼굴을 지어 보인다.
그는 2층에서는 백남준의 일생과 역사에 대한 자료가 함께 있어서 백남준이라는 사람을 조금 더 이해하고 작품을 본다면
분명 그의 작품을 더 즐길 수 있다고 나에게 설명한다.
맞는 말이다. 작품은 당연 작가의 생각과 이념을 투과한 대상이기에
작가를 안다는 것은 작품을 이해하는데 무엇보다도 중요한 요소이다.
그렇게 K의 다급한 강요에 조금의 여운을 남기고 1층을 떠나 이번에는 2층으로 향했다..
[다음 2편에서 계속..........]
광주 미디어 아트플랫폼(G.Map)
주소 : 광주 남구 천변좌로338번길 10 (우)61636
'Travel > 공연&전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는 광주에 없었다] 4년만에 돌아온 5.18 민주화 운동 연극 (2) | 2024.05.23 |
---|---|
백남준_사랑은 10,000 마일, 애정만리, 안심낙도 (1) | 2024.03.11 |
[백남준_사랑은 10,000 마일] 백남준 작가의 기록 (2) | 2024.02.21 |
[생태미술 프로젝트] 게으름이 초대한 생태미술 프로젝트 (2) | 2024.02.07 |
[수집_호남의 기억과 시간] 올해의 첫 미술관 (2) | 2024.01.09 |